성서대학

42. 역대기와 족보

2016.09.14 19:00

관리자 조회 수:2036046

역대상 1:1-5 “아담, 셋, 에노스, 게난, 마할랄렐, 야렛, 에녹, 므두셀라, 라멕, 노아, 셈, 함과 야벳의 아들들은 고멜과 마곡과 마대와 야완과 두발과 메섹과 디라스요.”

 

구약성경 안에는 서로 다른 사관을 가지고 기록된 두 종류의 역사서가 있다. 하나는 여호수아에서 열왕기하까지 룻기를 제외한 6권의 책으로 구성된 역사서이고 다른 하나는 역대상,하, 에스라, 느헤미야 등 4권으로 구성된 역사서이다. 전자는 신명기 신학과 역사관이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학자들에 의해 신명기 역사서라 불리고 있고, 후자는 신명기 역사와는 또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역대기 역사서라 불리고 있다. 4권의 책으로 구성된 역대기 역사서를 읽는 독자들은 아마 비슷한 생각을 하며 이 책을 읽을 것이다. 즉, ‘왜 이렇게 족보가 많을까?’, ‘족보도 하나님의 말씀으로 읽어야 하는가?’라는 생각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모두 잘못도니 생각이며 우리는 역대기 역사서에 유독 많은 족보가 나타나는 이유가 우연이 아닌 분명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역대기 역사서가 쓰여진 배경은 이스라엘이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던 시대의 상황이다. 당시 이스라엘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말라기, 학개 를 다룰 때 몇 번 언급한 것 같이 불가능한 정치적 공동체 회복을 포기하고 종교공동체로서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려 하는 문제였다. 그렇기 때문에 페르시아 시대부터는 ‘이스라엘’이라는 개념이 정치적 의미 보다는 종교적 의미로 그 개념 자체가 바뀌게 된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지도층에서 종교적 공동체를 강조한다 할지라도 유다 백성들이 그 말을 수긍하고 따르기 위해선 한 가지 조건을 반드시 충족시킬 필요가 있었다. 즉, 그것은 유다백성이 순수한 혈통을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다. 왜냐하면 혼혈이 되었을 경우 그들이 나라 잃은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생각하기보다는, 재배 민족의 사회로 어떻게든 귀화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더 이상 유다 백성의 존속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역대기 역사는 이러한 위기의 상황에 대한 대응으로 유다 백성들에게 그들이 살아남기 위해 해야 할 최우선의 선택으로 혼혈결혼을 금지하고 있다. 페르시아 시대를 힘겹게 살고 있는 후손들에게 온갖 어려움 속에서도 순수한 혈통을 지켜온 조상들의 자랑스러운 족보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유다 백성들의 오늘이 있기까지 혈통을 유지하기 위해 애쓴 조상들의 노력이 있음을 강조하며 현재 백성들에게 조상들과 같이 순수한 혈통을 유지하며 살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대기의 족보는 무의미한 이름의 나열이나 단순히 유다 백성들의 조상의 계보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이제까지 순수한 혈통을 간직하기 위해 살아온 조상들의 저항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재의 백성들도 강대국에 굴복하여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을 버리지 말고 끝까지 저항할 것을 독려하는 의미에서 많은 족보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역대기의 족보는 절박한 상황 가운데서도 희망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남을 것을 강조하고 있는 귀한 하나님의 말씀이라 할 수 있다.